보관 자료/GPS

[스크랩] 국가지점번호의 활용

남정권 2016. 1. 13. 01:15

최근 정부에서는 국가 주요 시설의 위치를 국가지점번호를 통해 표시하고 있습니다. 앞으로 이 국가지점번호의 사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 이에 국가지점번호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
 

국가지점번호의 근간은 UTM-K(한국형 UTM 좌표계)입니다. UTM-K에 대한 내용은 11년 전 [공지]란 글번호 49번에서 소개드린 바 있습니다.

 

국가지점번호는 UTM-K에 군사좌표(MGRS)의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(100,000 M. Square Identification)을 도입한 개념입니다. 즉, 숫자 여덟 자리의 국가지점번호는 8단계 군사좌표를 모방한 것입니다.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[활용팁]란 글번호 766번에 소개해 두었습니다.

 

 

[국가지점번호의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]

 

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은 좌표를 좀 더 간단하게 표기하고 음성전달을 용이하게 하며 좌표의 광역적 위치를 쉽게 인지하는 데 있지만,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기 복잡해 일반적인 활용에는 불편합니다. 구체적으로 국가지점번호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려면 우선 UTM-K 좌표로 변환한 후 이를 다시 경위도 좌표로 변환해야 합니다.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국가지점번호의 개선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.

 

▣ 국가지점번호 <=> UTM-K(한국형 UTM 좌표계)

숫자 여덟 자리의 국가지점번호와 숫자 열 자리의 국가지점번호를 다음 절차에 따라 UTM-K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 반대로 다음 절차의 역순에 따라 UTM-K 좌표를 국가지점번호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1. 아래 사진과 같은 숫자 여덟 자리의 국가지점번호는 가로 10m, 세로 10m의 구역으로 한정되며,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UTM-K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라사 2559 8364

  1)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의 첫째 음절을 아래 제시된 값으로 변환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0'이 됩니다.

가 => 7

나 => 8

다 => 9

라 => 10

마 => 11

바 => 12

사 => 13

  2) 여덟 자리의 숫자 중 앞의 네 자리 숫자만 취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 '2559'가 됩니다.

  3) 위 1)호의 값 뒤에 위 2)호의 값을 붙인 뒤 가장 뒤에 '0'을 붙이면 UTM-K의 동향값(Easting)이 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025590'이 됩니다.

  4)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의 둘째 음절을 아래 제시된 값으로 변환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9'가 됩니다.

가 => 13

나 => 14

다 => 15

라 => 16

마 => 17

바 => 18

사 => 19

아 => 20

  5) 여덟 자리의 숫자 중 뒤의 네 자리 숫자만 취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 '8364'가 됩니다.

  6) 위 4)호의 값 뒤에 위 5)호의 값을 붙인 뒤 가장 뒤에 '0'을 붙이면 UTM-K의 북향값(Northing)이 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983640'이 됩니다.

 

2. 아래와 같은 숫자 열 자리의 국가지점번호는 가로 1m, 세로 1m의 구역으로 한정되며,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UTM-K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
라사 25591 83647

  1)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의 첫째 음절을 아래 제시된 값으로 변환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0'이 됩니다.

가 => 7

나 => 8

다 => 9

라 => 10

마 => 11

바 => 12

사 => 13

  2) 열 자리의 숫자 중 앞의 다섯 자리 숫자만 취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 '25591'이 됩니다.

  3) 위 1)호의 값 뒤에 위 2)호의 값을 붙이면 UTM-K의 동향값(Easting)이 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025591'이 됩니다.

  4) 100,000 미터평방구분표식의 둘째 음절을 아래 제시된 값으로 변환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9'가 됩니다.

가 => 13

나 => 14

다 => 15

라 => 16

마 => 17

바 => 18

사 => 19

아 => 20

  5) 열 자리의 숫자 중 뒤의 다섯 자리 숫자만 취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 '83647'이 됩니다.

  6) 위 4)호의 값 뒤에 위 5)호의 값을 붙이면 UTM-K의 북향값(Northing)이 됩니다. 따라서 본 경우에는 '1983647'이 됩니다.

 

▣ UTM-K(한국형 UTM 좌표계) <=> 경위도 좌표계

UTM-K 좌표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는 다음 세 가지 방식 중 가장 편리한 방식을 이용하시면 됩니다. 본 과정들을 통해 변환한 경위도 좌표의 지도상 위치는 PC의 Quantum GIS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산길샘(구 나들이) 앱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 

1. PC에서 PCTrans를 이용하는 방법

  1)  PCTrans를 PC에 설치하여 실행시킨 후 아래 그림과 같이 [Operations and Parameters] 영역을 설정합니다.

 

 

  2) 우측이 [INPUT] 영역이 되게 한 상태에서 [Easting]란에 UTM-K의 동향값을 입력하고, [Northing]란에 UTM-K의 북향값을 입력한 후 하단의 [Compute]를 클릭하면 좌측 경위도 좌표 영역의 [Latitude]에 변환된 위도가 표시되고, [Longitude]에 변환된 경도가 표시됩니다. 위의 그림에서 [INPUT] 또는 [OUTPUT]을 클릭하여 그 위치를 바꾸면 역으로 경위도 좌표를 UTM-K 좌표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.

  3) 만약 UTM-K 좌표의 위치를 바로 Daum 지도에서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[Operations and Parameters] 영역을 설정한 후 우측의 [INPUT] 영역에 UTM-K 좌표를 입력하여 좌측 영역에서 Daum 지도 좌표를 파악합니다. 이렇게 파악된 Daum 지도 좌표는 [활용팁]란 글번호 1303번에 소개된 내용 중 [▣ Daum 지도 좌표의 Daum 지도 상 위치 파악하기]를 통해 그 위치를 Daum 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2. 휴대용 GPS를 이용하는 방법

  1) [공지]란 글번호 49번에 소개된 절차에 따라 가민 GPS 또는 마젤란 GPS 장비에 UTM-K 좌표계를 설정합니다.

  2) 휴대용 GPS에서 UTM-K 좌표를 그대로 입력하여 지점 저장을 합니다. 이렇게 하면 저장된 지점의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되고, 해당 지점에 대한 지점 항법(Goto 항법)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좌표계 설정을 다시 경위도 좌표계로 변경한 후 지점 목록에서 해당 지점을 열어보면 변환된 경위도 좌표를 볼 수 있습니다.

 

3.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법

  1)  안드로이드 스마트폰

    가. [ Play 스토어]에서 [Geo Converter] 앱을 설치합니다.

    나. [Geo Converter] 앱을 실행한 후 아래 초기화면에서 [Setup]을 두드립니다.

 

 

    다. [Setup]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 후 [Zone]의 [Other]를 두드립니다.

 

 

    라. 아래 화면에서 [Scale reduce factor]에 [0.9996]을 입력한 후 [Apply]를 두드리면 설정이 완료됩니다.

 

 

    마.  백 버튼을 두드려 아래 초기화면이 열리면 [Convert Data]를 두드립니다.

 

 

    바. 아래 화면이 열리면 상단의 [XY⇌BL]을 두드려 선택한 후 [N-E coordinates] 영역에 UTM-K 좌표를 입력합니다. 이때, 위 칸에 북향값(Northing)을 입력하고 아래 칸에 동향값(Easting]을 입력해야 합니다.

 

 

    사. 위 화면의 [Convert to Lat-Long]을 두드리면 [Lat-Long coordinates] 영역에 변환된 경위도 좌표가 표시됩니다. 이때, [DMS format]이 선택되어 있으면 [도/분/초] 포맷의 경위도 좌표가 표시되고 [DD format]이 선택되어 있으면 [도] 포맷의 경위도 좌표가 표시됩니다. 본 화면에서 [Convert to N-E]를 두드리면 역으로 경위도 좌표를 UTM-K 좌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

  2)  iOS 장비(아이폰, 아이패드, 아이팟)

    가. [App Store]에서 [CoordTrans] 앱을 설치합니다.

    나. [CoordTrans] 앱을 실행한 후 아래 초기화면의 1번에서 [Lon/Lat]을 선택하고, 2번에서 원하는 경위도 좌표 포맷(D : 도, DM : 도/분, DMS : 도/분/초)을 선택하고, 3번에서 [Projection]을 선택하고, 4번에서 [Transverse Mercator]를 선택합니다.

 

 

     다. 위 초기화면의 5번을 두드려 아래 [Settings] 화면을 열어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한 후 좌측 상단의 [Back]을 두드려 설정을 완료합니다.

 

 

    라. 아래의 초기화면에서 1번의 연필 아이콘을 두드립니다.

 

 

    마. 아래 [Coordinates] 화면의 1번에서 [Projection]을 선택하고, 2번에서 [Transverse Mercator]를 선택하고, 3번의 [Easting]에 UTM-K 좌표의 동향값을 입력하고, [Northing]에 UTM-K 좌표의 북향값을 입력합니다.

 

 

    바. 위 [Coordinates] 화면에서 4번의 [OK]를 두드려 아래 초기화면이 열리면 1번에 변환된 경위도 좌표가 표시됩니다. 만약, 역으로 경위도 좌표를 UTM-K 좌표로 변환하려면 아래 초기화면에서 2번의 연필 아이콘을 두드린 후 위도(Latitude)와 경도(Longitude)를 입력하면 3번에 변환된 UTM-K 좌표가 표시됩니다.

 

 

 

▣ 기타 활용법

 

1. [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.gpx] 파일을 휴대용 GPS에 활용

아래 첨부된 [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.gpx]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휴대용 GPS에 입력하고 좌표계 설정을 UTM-K로 합니다. 이렇게 할 경우 휴대용 GPS의 지도 화면에 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(이하 구분표식)과 그 구역을 나타내는 격자가 표시됩니다. 그러면 특정 국가지점번호를 지도 화면의 커서(맵포인터)를 통해 바로 지점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 국가지점번호의 해당 구분표식 구역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지점 저장창을 열면 UTM-K 좌표에서 십만 자리 이상은 자동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십만 자리 미만의 다섯 자리 숫자만 편집하여 저장하면 됩니다. 그리고 지도 화면에서 현재 위치의 국가지점번호도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 UTM-K 좌표란에 표시된 좌표에서 십만 자리 이상은 지도상 내 위치(삼각형)의 구분표식을 대입하면 되기 때문입니다. 본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이와 유사한 활용법인 [활용팁]란 글번호 1265번을 참조하시면 됩니다.

 

첨부파일 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.gpx

 

2. [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.gpx] 파일을 GPS TrackMaker Pro에 활용

GPS TrackMaker Pro(유료)를 실행하여 [Tools]/[Options...]/[User Grid]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하고, [Tools]/[Options...]/[Coordinates]/[Coordinate System]/[Rectangular Grids]에서 [User Grid]를 선택한 후 [File]/[Open File...]을 통해 위에 첨부된 [국가지점번호100킬로미터평방구분표식.gpx] 파일을 열면 위 1.항과 유사한 활용이 가능합니다.

 

출처 : GPS
글쓴이 : 남정권 원글보기
메모 :